안녕, 나 김태풍( 프로그래밍 공부 3개월 차)
과목명: 기초프로젝트랩(2학년 1학기)
*첫 번째 협업 프로젝트
시작하기 앞서 이 협업은 기술적인 방향보단 창업과 같이 사업성과 확장성을 중점으로 프로젝트를 구축한다.
내가 얼마나 깔끔하고 정교하고 기술적인 코드를 만들 것인가 보단, 과연 사람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원하는가 어느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지
(문제확인 - 페르소나 설정 - POV - HMW - 스토리보드)
위와 같은 과정으로 프로젝트를 구축한다.
초반 팀원 기술 스택 확인
팀장(김태풍:개발 3개월차 복수 전공생..): just java.. Spring으로 간단한 project(인프런 김영한 선생님 스프링 입문 클론 코딩 정도,..?) 협업 경험 x
팀원 1,2,3(2학년) : 딱 전공생 2학년 1학기 수준. 모두 협업 및 프로젝트 경험 x
1. 문제 확인
무슨 서비스를 만들것이냐가 아닌 평소에 우리가 어떠한 부분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나 생각해서 문제점을 도출한다.
총 4명의 팀원이 아래와 같은 문제 제기
다중 투표법으로 문제의 중요도와 우리의 기술 스택으로 구현 가능한가? 를 기반으로 실시
2. 페르소나 설정
3.POV(Point Of View)
4.HMW(How Might We)
우리가 배아파씨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10+10 step 과정을 적용)
How설정(10) -> 그중 1개의 how에 대해서 solution(10) 선택 **모두 다중 투표법으로 진행
---------종합----------
5. STORY BOARD
*****************STORY BOARD 기반으로 일반인들 TESTING 및 FEEDBACK 받기**********************
사실상 이 과정이 제일 중요하다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 주제는 우리 팀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봤을 수 있기에 객관적인 여러 사람들의 관점을 수용하고 지적받아야 한다.
아직 서비스 개발 전이기에 이런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 개발 방향과 설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사전조사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긍정적인 답변도 있지만 사업성을 갖기 위해선 최대한의 부정적인 부분을 수용해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약 2개월동안 구조화된 프로젝트 구축을 하며 느낀 점..
개발자 시대가 열리면서 전공자며 비전공자며 다들 프로그래밍에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부트캠프나 여러 유튜브 혹은 유료 강의를 통해 개발 실력을 연마하고 있다. 이런 교육방식이 우리나라의 문제점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혹은 창의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언어 및 프레임워크를 공부하고 그저 취업해 유지보수하는 사람이 되기보단, 과연 이 세상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만든 서비스로 인해 세상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 이 생각이 우선시되고 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언어와 프레임웤을 연마하는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물론 기초프로그래밍은 알고 있어야하지만..) 처음에는 이런 과정을 왜 해야하지? 그냥 뭐 만들지 생각하고 바로 개발(코딩) 시작하면 되는 것 아닌가? 그렇게 생각하였다, 하지만 내 주관이 들어간 서비스는 모든 사람을 절대 만족시킬 수 없다. 내 주관이 아닌 모든 사람의 관점으로 어떠한게 불편하고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해야 훗날 카카오, 배달의 민족 , 토스.. 등등 나도 그런 서비스를 유지보수 하는사람이 아닌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냥 기술자가 아닌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개발자가 되자.
'Sub Project > Vue.js + Fire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내 창의 작품 경진대회 - 프로토타입 및 개발Tools 설정(2) 2022-05 (0) | 2022.09.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