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3-2/Web (5)
더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메모장

-Form Validation Validation과정중에서는 서버쪽에서 검증(Server Side valid)을 해도 되지만 좀 더 안전하게 프론트(Client side valid)단에서 어느정도 validation도 가능하다. 폼태그에서 어떤 한 Func의 실행시 참일때만 작동하게 되게 할 수 있다. //유용한 함수 isNan -> Number형식인지 확인해주는 메서드 또한 input태그안에 required를 이용할 수 있다.

일단 이 Web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고 어 난 Web개발자가 될거야! 어 난 Server개발자가 될거야 Back-end개발자가 될거야! 라고 말했던 내 자신을 반성하며 ....... 긁젉긁젉 널널한개발자 강의+우아한 테크코스 10분 테크톡 + 얄팍한 코딩사전 유튜브를 보고 공부한 내용을 적어 놓은것입니다. 먼저 전에 Client단에서의 Resource들의 구문분석을 위한 Parser, 그리고 랜더링 엔진 css, 동적 html제어를 위한 Script엔진 js까지 이렇게 Client단에 대해서 배웠고 Server에서는 Resource를 response 해주는 역할을하며 동시에 어떠한 제어장치를 통해 Database와 연동을하고 안에서 연산을 제어한다. 이제 우린 그 Database와 Server사이에 ..

프로그램에는 ui , 제어, 자료구조로 나뉘어진다고 했다. 여태 배운 html의 기능이 자료구조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근데 이렇게 text만 주구장창 읽어오니간 가독성이 떨어지고 색깔도 없고 너무 시원찮아 UI기능을 담당하는 렌더링에만 관여하는 css가 도입되게 된다. 초창기에는 resource에 htrml만 받았지만 그 뒤로 html , css, 사진 순으로 받게 된다. 이 세가지를 server에서는 정적 컨텐츠로 HDD나 SDD로 저장하게 된다. 자이제 get의 server에서 client로의 단방향 작용은 알겠고 만약 method가 post로 날라오게 된다면? client에서는 url에 parameter값들을 넣어 보내고 이제 server에서는 어? 어디까지 뭘 했더라? 이런 느낌의 기억들을 저..

전에 배웠던 내용으로 html와 http가 거미줄처럼 이어져 있는 구조를 Web이라고 한다 했다. 프로그램이라하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해 자료구조, UI, 제어로 분류한다. web도 마찬가지이다. \Client단(web browser) -> Internet 0> Server 로 나뉘어진다. http 통신의 제일 큰 특징으로 stateless 가 존재한다. 일단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자. 먼저 html문서에 주소(Uniform Resource location) 여기서 resource는 html와 같은 문서를 말한다. http는 tcp/ip기반 연결을 하는데 WebClient의 Ip주소에서 url을 토대로 WebServer Ip에 연결해 resource를 요청하게 된다. Client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