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 앞서 이상과 실체를 알아야하는 네트워크 

이상: OSI 7L 

실체 -> TCP/IP + HTTP 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명심 또 명심.. 이상에 목숨걸지말기

 

컴퓨터 world는 3개의 Layer로 나뉨 (user - kernel - h/w) user-kernal 를 software이라고 한다.

 

DOD(미국 방위 어쩌구)에서는 7Layer가 아닌 4Layer로 나타냄 그림으로 먼저 봐보자 

 

컴퓨터 계층

너무너무 중요한 Socket이 뭘까

Socket: TCP를 User Mode의 application으로 Process가 접근할 수 있도록 File형식으로 추상화 한 interface!!!!!!!!

 

DOD에 각 Layer를 아래와 같은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있는데  각자의 무엇에 대한 식별자일까

Transport- port번호, Network-IP주소, Access-Mac address

Macaddress(하드웨어주소,,변경가능함)-는 NIC(Network interface Card)(LAN CARD)의 식별자 

IP주소( 컴퓨터에 부여되는,,, NIC이 하나인 컴퓨터에도 N개의 IP주소를 바인딩 할 수 있다. 하나당 한 개가 아님 하나가 여러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잇다)는 Host에 대한 식별자 

Port번호는 업무에 따라 관점(식별자)이 달라진다. 

user관리 -> Process식별자? Server단->Service? H/w_>인터페이스 번호?

 

중요한 Host가 뭘까-----> 그냥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 

Host 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Network 이용주체: End-Point라고 하며(EndPointMachine 단말기)역할에 따라 Peer, Service, Client등으로 나눈다.

2. Network 그 자체 : Switch라고 하는데 용도 별로 나뉠 수 있다. 

 (1)보안 switch- firewall(방화벽), IPS

 (2)경로 switch- Router 경로 선정 switch로 L3계층의 대표적인 switch 

 

여기서 Internet이라하면 Router의 집합체 + DNS라고 볼 수 있따. 

다음에는 인터넷의 구성요소인 DNS가 뭔지 공유기는 Switch일까? 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모두 널널한개발자님 강의 들으세요~ 컴퓨터가 이 분인지 이 분이 컴퓨터인지 모르겠음 ㅋㅋ

'3-2 > Computer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프로토콜  (0) 2022.10.06
[컴퓨터 네트워크] Packet Switching  (0) 2022.09.13
인터페이스 스위칭에 대해서..  (0) 2022.09.12
개발자 관점에서의 port번호와 switch, switching  (0) 2022.09.12
IP 주소와 NetMask  (0) 2022.09.07

+ Recent posts